주소창에 www.naver.com을 치면 일어나는 일
- 주소창에 www.naver.com을 입력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?
- 면접 질문에서도 종종 나오는 이 방식은 생각보다 간단하다.
- 방식에 대해 이해하기 전에 IP 주소, 도메인에 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.
IP 주소
- IP 주소란 많은 컴퓨터들이 인터넷 상에서 서로를 인식하기 위해 지정받은 식별용 번호라고 생각하면 된다.
- 현재는 IPv4 버전(32비트)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번씩은 들어봤을 법한 127.0.0.1 같은 주소를 말한다.
- 시간이 갈수록 IPv4 주소의 부족으로 IPv6가 생겼는데, 128비트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IP 주소가 부족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.
도메인 네임(Domain Name)
- IP주소는 12자리의 숫자로 되어있기 때문에 사람이 외우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.
- 그렇기 때문에 12자리의 IP 주소를 문자로 표현한 주소를 도메인 네임이라고 한다.
- 다시 말해서, 도메인 네임은 ‘naver.com’처럼 몇 개의 의미있는 문자들과 점(.)의 조합으로 구성된다.
- 도메인 네임은 사람의 편의성을 위해 만든 주소이므로 실제로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.
- 이때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도메인 네임과 함께 해당하는 IP 주소값을 한 쌍으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DNS(Domain Name System) 이라고 부른다.
- 다시 말해 사람이 도메인 네임으로 입력하면 DNS를 이용해 컴퓨터는 IP 주소를 찾아갈 수 있다.
WEB 동작 원리
-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도메인 네임(www.naver.com)을 입력한다.
- 사용자가 입력한 URL 주소 중에서 도메인 네임(domain name) 부분을 DNS 서버에서 검색하고, DNS 서버에서 해당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아 사용자가 입력한 URL 정보와 함께 전달한다.
- 페이지 URL 정보와 전달받은 IP 주소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, 이렇게 생성된 HTTP 요청 메시지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거쳐 해당 IP 주소의 컴퓨터로 전송된다.
- 이렇게 도착한 HTTP 요청 메시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URL 정보로 변환되어 웹 페이지 URL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한다.
- 검색된 웹 페이지 데이터는 또 다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거쳐 원래 컴퓨터로 전송된다.
- 도착한 HTTP 응답 메시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웹 브라우저에 의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된다.
어려운 개념은 아니니 재미삼아 읽어봐도 좋을 것 같다.